Intravitreal Delivery(유리체강내 전달)란 무엇입니까?
Intravitreal Delivery 유리체강내 전달 - We investigated whether adjuvant pharmacological agents may enhance rAAV transduction of the retinas of mouse and rat after intravitreal delivery. [1] However, stimulation of retinal astrocytic growth by intravitreal delivery of PDGF-A was sufficient to block retinal vascular pruning in wild-type mice. [2] Overexpression of PEDF by intravitreal delivery of AAV2 vector significantly increased Tuj1-positive cells survival and modulated FGF-2, IL-1ß, Iba-1, and GFAP immunostaining in the ganglion cell layer (GCL) at 4 weeks after optic nerve crush, although it could not promote axonal outgrowth. [3] Here we show intravitreal delivery of tunicamycin primarily induced ER stress in photoreceptor cells resulting in their loss by apoptosis. [4] APP−/− mice exhibit greater susceptibility to retinal rotenone toxicity, while intravitreal delivery of sAPPα reduces inner retinal neuronal death in wild-type mice following rotenone challenge. [5] Thus, we developed a new human-DNA MiniPromoter, Ple345 (NEFL), which in combination with intravitreal delivery in rAAV9 showed specific and robust expression in the retinal ganglion cells of the nonhuman-primate rhesus macaque retina. [6]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mouse bone marrow-derived MSCs after their intravitreal delivery to the inflammatory environment in the eye,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β, TNF-α and IFN-γ. [7] Both intraperitoneal and intravitreal delivery of Apratoxin S4 are able to impede ocular neovascularization in vivo. [8]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intravitreal delivery of sGFP-TatCARD reduces inflammation and can protect the retina from both acute and sustained oxidative damage within the RPE and choroid. [9] ADVM-022, an adeno-associated virus vector encoding aflibercept, is optimized for intravitreal delivery and strong protein expression. [10]우리는 유리체내 전달 후 보조제 약리학적 제제가 마우스 및 래트 망막의 rAAV 형질도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습니다. [1] 그러나 PDGF-A의 유리체내 전달에 의한 망막 성상세포 성장의 자극은 야생형 마우스에서 망막 혈관 가지치기를 차단하기에 충분했습니다. [2] AAV2 벡터의 유리체내 전달에 의한 PEDF의 과발현은 Tuj1-양성 세포 생존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시신경 압궤 후 4주에 신경절 세포층(GCL)에서 FGF-2, IL-1ß, Iba-1 및 GFAP 면역염색을 조절했지만, 축삭 성장을 촉진할 수 없습니다. [3] 여기에서 우리는 tunicamycin의 유리체내 전달을 주로 광수용체 세포에서 ER 스트레스로 유도하여 세포자멸사에 의한 손실을 초래함을 보여줍니다. [4] APP-/- 마우스는 망막 로테논 독성에 대해 더 큰 감수성을 나타내는 반면, sAPPα의 유리체내 전달은 로테논 공격 후 야생형 마우스에서 내부 망막 신경 세포 사멸을 감소시킵니다. [5] 따라서, 우리는 rAAV9의 유리체내 전달과 함께 비인간-영장류 붉은털 원숭이 망막의 망막 신경절 세포에서 특이적이고 강력한 발현을 나타내는 새로운 인간-DNA 미니프로모터 Ple345(NEFL)를 개발했습니다. [6] 이 연구에서 우리는 전 염증성 사이토 카인 IL-1β, TNF-α 및 IFN-γ의 적용으로 인한 눈의 염증 환경으로의 유리체 내 전달 후 마우스 골수 유래 MSC의 면역 조절 특성을 분석했습니다. [7] 아프라톡신 S4의 복강내 및 유리체내 전달 모두 생체내 안구 혈관신생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8] 우리의 결과는 sGFP-TatCARD의 유리체내 전달이 염증을 감소시키고 RPE 및 맥락막 내에서 급성 및 지속적인 산화 손상으로부터 망막을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9] 아플리버셉트를 암호화하는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 벡터인 ADVM-022는 유리체내 전달 및 강력한 단백질 발현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