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enomatoid Hamartoma(선종 과오종)란 무엇입니까?
Adenomatoid Hamartoma 선종 과오종 - Objective:To analyze the imaging features of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n the nasal olfactory clefts. [1]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s a rare lesion in nasal cavity first reported by Wenig and Heffner in 1995. [2] The lesion in the left middle meatus showed the features of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D). [3] RESULTS Histology showed classical inflammatory nasal polyps (CINP) in 91% of nasal cavities at primary surgery versus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or REAH associated to CINP in 54. [4] Objective: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n the nasal cavity. [5] Chondro-osseous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s (COREAHs) are benign entities that are rarely present within the nasal cavity but to date have only been identified in nasal polyp-like masses. [6] Seromucinous Hamartoma(SH)はこれまでWHO分類には記載されていなかったが,2017年頭頸部腫瘍 WHO分類第4版で呼吸上皮病変として新たに制定された。鼻副鼻腔に生じる過誤腫として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REAH)はこれまでに多くの報告・検討があるが,SHは我々が渉猟し得た 範囲では報告数は24例のみである。今回我々は左鼻腔後方より発生したSHを経験したので,文献的考察を加えて 報告する。症例は40歳男性。左咽頭違和感と嚥下時痛を主訴に当科を受診した。鼻腔ファイバースコープにて 左鼻内に上鼻道方向から後鼻孔へ,表面凹凸のある腫瘤を認め,診断・摘出目的に全身麻酔での摘出術を施行 しSHと診断した。SHは3:2で男性に多く,年齢は14歳~85歳と幅広い。発生部位は鼻中隔後端や上咽頭など 鼻腔後方が多い。組織学的には表層が多列線毛上皮に覆われ,粘膜下に粘漿液腺が増殖し,ポリープ様形態を 呈している。免疫組織学的には,増殖腺管を形成している単相立方上皮は基底細胞が欠落し,腺管周囲には筋上 皮細胞も存在しないことが示された。今後,鼻腔後方に発生する腫瘍としてSHの存在を念頭に置く必要がある。. [7] Another entity which most poorly understood is low grade glandular or tubular proliferations which includes reactive lesions,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seromucinous hamartoma, and low grade sinonasal adenocarcinoma. [8] Chondro-osseous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COREAH) is an extremely rare lesion of the nasal cavity with only 11 reported cases in the literature. [9] Multicystic adenomatoid hamartoma is an extremely rare tumor of the pancreas, with only 4 other cas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10]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s a recently classified histopathologic diagnosis often identified incidentally following endoscopic sinus surgery (ESS) for presumed chronic rhinosinusitis. [11]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and seromucinous hamartoma (SH) are rare tumor-like lesions of the nasal cavity, paranasal sinuses, and nasopharynx. [12] Introduction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s a benign disease that can resemble other malignant entities. [13]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s a distinct non-neoplastic entity originating from anterior olfactory cleft in the nasal cavity, often going unnoticed. [14]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s (REAHs) are becoming a more commonly recognized otolaryngologic tumor and are often misdiagnosed as inverted papilloma. [15]목적:비강 후각구열에서 호흡 상피 샘종양 과오종(REAH)의 영상 특징을 분석합니다. [1]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는 1995년 Wenig와 Heffner에 의해 처음 보고된 비강의 드문 병변입니다. [2] 좌측 중도의 병변은 호흡기 상피 샘종양 과오종의 특징을 보였다(READ). [3] 결과 조직학에서는 1차 수술 시 비강의 91%에서 고전적 염증성 비용종(CINP)이 나타났고, 54명의 CINP와 관련된 REAH(호흡 상피 선종 과오종)가 나타났습니다. [4] 목적: 비강 내 호흡 상피 샘종양 과오종(REAH)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한다. [5] Chondro-osseous 호흡기 상피 샘종양 과종(COREAHs)은 비강 내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양성 개체이지만 현재까지는 비용종 유사 종괴에서만 확인되었습니다. [6] Seromucinous Hamartoma (SH)는 지금까지 WHO 분류에 기재되어 있지 않았지만, 2017년 두경부 종양 WHO 분류 4판에서 호흡 상피 병변으로 새롭게 제정되었다. 코 부비동에 발생하는 과오종으로서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REAH)는 지금까지 많은 보고·검토가 있었지만, SH는 우리가 섭렵할 수 있었던 범위에서는 보고수는 24례 뿐이다. 이번에 우리는 좌비강 후방에서 발생한 SH를 경험했기 때문에 문헌적 고찰을 더해 보고한다. 증례는 40세 남성. 좌인두 위화감과 삼키는 통증을 주소로 당과를 진찰했다. 비강 섬유 스코프에서 좌비로 상비도 방향에서 후비공으로 표면 요철이있는 종괴를 인정하고 진단 · 적출 목적으로 전신 마취에서 적출술을 시행하여 SH로 진단했다. SH는 3:2로 남성에 많고, 나이는 14세~85세로 폭넓다. 발생 부위는 비중격 후단이나 상인두 등 비강 후방이 많다. 조직학적으로는 표층이 다열선모 상피로 덮여 점막하에 점장액선이 증식하여 폴립형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면역 조직 학적으로 증식 선관을 형성하는 단상 입방 상피는 기저 세포가 누락되었고 선관 주위에는 근상피 세포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비강 후방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서 SH의 존재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 [7] 가장 잘 이해되지 않는 또 다른 실체는 반응성 병변, 호흡기 상피 선종양 과오종, 장액성 과오종 및 저등급 동비강 선암종을 포함하는 저등급 선 또는 세관 증식입니다. [8] Chondro-osseous 호흡기 상피 선종양 과오종(COREAH)은 비강의 극히 드문 병변으로 문헌에 11건만 보고되었습니다. [9] 다낭성 선종 과오종은 췌장의 극히 드문 종양으로 문헌에 4예만 보고되어 있습니다. [10] 호흡기 상피 샘종양 과오종(REAH)은 추정되는 만성 비부비동염에 대한 내시경 부비동 수술(ESS) 후 종종 우연히 확인되는 최근 분류된 조직병리학적 진단입니다. [11] 호흡 상피 선종 과오종(REAH) 및 장액성 과오종(SH)은 비강, 부비동 및 비인두의 드문 종양 유사 병변입니다. [12] 소개 호흡기 상피 선종 과오종(REAH)은 다른 악성 개체와 유사할 수 있는 양성 질환입니다. [13]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는 비강의 전방 후각 틈에서 기원하는 독특한 비종양성 개체로 종종 눈에 띄지 않습니다. [14] 호흡 상피 선종 과오종(REAHs)은 이비인후과 종양으로 더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종종 역유두종으로 오진됩니다. [15]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상피 선종 과오종
Objective:To analyze the imaging features of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n the nasal olfactory clefts. [1]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s a rare lesion in nasal cavity first reported by Wenig and Heffner in 1995. [2] The lesion in the left middle meatus showed the features of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D). [3] RESULTS Histology showed classical inflammatory nasal polyps (CINP) in 91% of nasal cavities at primary surgery versus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or REAH associated to CINP in 54. [4] Objective: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n the nasal cavity. [5] Chondro-osseous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s (COREAHs) are benign entities that are rarely present within the nasal cavity but to date have only been identified in nasal polyp-like masses. [6] Seromucinous Hamartoma(SH)はこれまでWHO分類には記載されていなかったが,2017年頭頸部腫瘍 WHO分類第4版で呼吸上皮病変として新たに制定された。鼻副鼻腔に生じる過誤腫として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REAH)はこれまでに多くの報告・検討があるが,SHは我々が渉猟し得た 範囲では報告数は24例のみである。今回我々は左鼻腔後方より発生したSHを経験したので,文献的考察を加えて 報告する。症例は40歳男性。左咽頭違和感と嚥下時痛を主訴に当科を受診した。鼻腔ファイバースコープにて 左鼻内に上鼻道方向から後鼻孔へ,表面凹凸のある腫瘤を認め,診断・摘出目的に全身麻酔での摘出術を施行 しSHと診断した。SHは3:2で男性に多く,年齢は14歳~85歳と幅広い。発生部位は鼻中隔後端や上咽頭など 鼻腔後方が多い。組織学的には表層が多列線毛上皮に覆われ,粘膜下に粘漿液腺が増殖し,ポリープ様形態を 呈している。免疫組織学的には,増殖腺管を形成している単相立方上皮は基底細胞が欠落し,腺管周囲には筋上 皮細胞も存在しないことが示された。今後,鼻腔後方に発生する腫瘍としてSHの存在を念頭に置く必要がある。. [7] Another entity which most poorly understood is low grade glandular or tubular proliferations which includes reactive lesions,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seromucinous hamartoma, and low grade sinonasal adenocarcinoma. [8] Chondro-osseous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COREAH) is an extremely rare lesion of the nasal cavity with only 11 reported cases in the literature. [9]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s a recently classified histopathologic diagnosis often identified incidentally following endoscopic sinus surgery (ESS) for presumed chronic rhinosinusitis. [10]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and seromucinous hamartoma (SH) are rare tumor-like lesions of the nasal cavity, paranasal sinuses, and nasopharynx. [11] Introduction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s a benign disease that can resemble other malignant entities. [12]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 is a distinct non-neoplastic entity originating from anterior olfactory cleft in the nasal cavity, often going unnoticed. [13]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s (REAHs) are becoming a more commonly recognized otolaryngologic tumor and are often misdiagnosed as inverted papilloma. [14]목적:비강 후각구열에서 호흡 상피 샘종양 과오종(REAH)의 영상 특징을 분석합니다. [1]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는 1995년 Wenig와 Heffner에 의해 처음 보고된 비강의 드문 병변입니다. [2] 좌측 중도의 병변은 호흡기 상피 샘종양 과오종의 특징을 보였다(READ). [3] 결과 조직학에서는 1차 수술 시 비강의 91%에서 고전적 염증성 비용종(CINP)이 나타났고, 54명의 CINP와 관련된 REAH(호흡 상피 선종 과오종)가 나타났습니다. [4] 목적: 비강 내 호흡 상피 샘종양 과오종(REAH)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한다. [5] Chondro-osseous 호흡기 상피 샘종양 과종(COREAHs)은 비강 내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양성 개체이지만 현재까지는 비용종 유사 종괴에서만 확인되었습니다. [6] Seromucinous Hamartoma (SH)는 지금까지 WHO 분류에 기재되어 있지 않았지만, 2017년 두경부 종양 WHO 분류 4판에서 호흡 상피 병변으로 새롭게 제정되었다. 코 부비동에 발생하는 과오종으로서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REAH)는 지금까지 많은 보고·검토가 있었지만, SH는 우리가 섭렵할 수 있었던 범위에서는 보고수는 24례 뿐이다. 이번에 우리는 좌비강 후방에서 발생한 SH를 경험했기 때문에 문헌적 고찰을 더해 보고한다. 증례는 40세 남성. 좌인두 위화감과 삼키는 통증을 주소로 당과를 진찰했다. 비강 섬유 스코프에서 좌비로 상비도 방향에서 후비공으로 표면 요철이있는 종괴를 인정하고 진단 · 적출 목적으로 전신 마취에서 적출술을 시행하여 SH로 진단했다. SH는 3:2로 남성에 많고, 나이는 14세~85세로 폭넓다. 발생 부위는 비중격 후단이나 상인두 등 비강 후방이 많다. 조직학적으로는 표층이 다열선모 상피로 덮여 점막하에 점장액선이 증식하여 폴립형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면역 조직 학적으로 증식 선관을 형성하는 단상 입방 상피는 기저 세포가 누락되었고 선관 주위에는 근상피 세포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비강 후방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서 SH의 존재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 [7] 가장 잘 이해되지 않는 또 다른 실체는 반응성 병변, 호흡기 상피 선종양 과오종, 장액성 과오종 및 저등급 동비강 선암종을 포함하는 저등급 선 또는 세관 증식입니다. [8] Chondro-osseous 호흡기 상피 선종양 과오종(COREAH)은 비강의 극히 드문 병변으로 문헌에 11건만 보고되었습니다. [9] 호흡기 상피 샘종양 과오종(REAH)은 추정되는 만성 비부비동염에 대한 내시경 부비동 수술(ESS) 후 종종 우연히 확인되는 최근 분류된 조직병리학적 진단입니다. [10] 호흡 상피 선종 과오종(REAH) 및 장액성 과오종(SH)은 비강, 부비동 및 비인두의 드문 종양 유사 병변입니다. [11] 소개 호흡기 상피 선종 과오종(REAH)은 다른 악성 개체와 유사할 수 있는 양성 질환입니다. [12]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REAH)는 비강의 전방 후각 틈에서 기원하는 독특한 비종양성 개체로 종종 눈에 띄지 않습니다. [13] 호흡 상피 선종 과오종(REAHs)은 이비인후과 종양으로 더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종종 역유두종으로 오진됩니다. [14]